벤더별 정리


WEB서버 (정정컨탠츠 처리, 모니터링, 퍼포먼스, 요청제어)


 개발사

 제품명 

 Apache

 Apache 

 MS 

 IIS 

 Oracle

 OHS 

 Tmax

 WebtoB 



WAS (= 미들웨어, 동적컨탠츠 처리, 스크립트 처리)

 개발사

제품명 

 Apache

 Tomcat

 MS

 IIS

 Oracle

 WebLogic

 Tmax

 JEUS

 IBM 

 WebShpere

 Caucho

 Resin

 RedHat JBOSS





매핑 (절대적인건 아님)

- Apache, Tomcat

- IIS

- OHS(Apache랑 거의 동일), WebLogic

- WebtoB, JEUS

- Apache, WebSphere (아파치 등 다른 웹서버 연동 가능)

- Regin

- JBOSS

  JBoss?

     1. J2EE기반의 프로그램을 돌리게 해주는 WAS이다.

     2. WAS라고 하면, 기본적으로 servlet container를 제공해주지만, JBoss에는 없음.

     3. 고로~ JBoss 안에는 Tomcat이 있음.

     4. EJB기능만을 사용하려면, Tomcat 설치 안해도 됨.

     5. 무료 open source임.





안녕하세요. 최근에 웹 개발을 진행하면서, 아파치 톰켓을 띄우고 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왔습니다. 문득, 서버에 대해서 궁금증을 가지게 되었고, apache(web 서버)와 tomcat(was 서버)은 서버지만 조금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고, 정리하는 겸 웹(web) 서버와 was 서버의 차이에 대해서 포스팅하려고합니다.


1. web Server


웹 서버는 웹 브라우저(IE, chrome, firefox 등)와 같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서 정적 컨텐츠(html, 이미지, 파일) 등을 제공해주는 서버입니다. 즉 사용자가 클라이언트로 요청을 보내면 그 명령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고 다시 사용자에게 응답을 해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자주 사용되는 웹 서버로는 apache, IIS, 웹투비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동적 컨텐츠가 들어올 경우에는 was 서버로 데이터를 넘겨주게 됩니다.



2. was Server(Web Application Server)


was는 Web Application Server의 약자로,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웹 응용 서버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HTTP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나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해 주는 일종의 미들웨어를 말하며, 자주 사용되는 was 서버로는 tomcat, 제우스, 웹스피어, 젬스톤, 웹로직 등이 있습니다.

apache(웹 서버)와 tomcat(was 서버)을 연동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로드 밸런싱(하나의 인터넷 서비스가 발생하는 트래픽이 많을 때, 여러 대의 서버가 분산처리하여 서버의 로드율 증가, 부하량, 속도 저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분산 처리하여 해결해주는 서비스)이 가능하고, 서버를 분리하여 서버의 부하를 분산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보통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출처: http://toma0912.tistory.com/52 [토마's 개발노트]

'지식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m 컬러변경  (0) 2018.03.20
git 교육 및 실습, 명령어  (0) 2018.03.17

+ Recent posts